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자본 엄.슴.

Ruby on Rails 프로젝트 시작 본문

Ruby on Rails

Ruby on Rails 프로젝트 시작

자본없음 2019. 2. 14. 21:50

앞서 말한대로 간단한 레일즈로 간단한 게시판을 만들 것이다. 우선 레일즈 프로젝트를 시작해보자. 기본 명령어는 이렇다.

rails new board

마지막 board 부분에는 프로젝트 이름을 넣으면 된다. rails new 명령어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파일과 디렉터리가 생성된다.

이름 목적
app/ 모델, 뷰, 컨트롤러 폴더를 가지고 있음
bin/ 레일즈 실행에 관한 파일을 가지고 있음
config/ 레일즈 라우터 db 등의 기본 설정 파일을 가지고 있음
db/ db 스키마 파일을 가지고 있음
lib/ 외부 라이브러리를 가지고 있음
log/ 로그 파일을 가지고 있음
public/ 정적 파일을 두는 디렉터리
storage/ 업로드한 파일 저장하는 디렉터리
test/ 테스트 도구가 있는 디렉터리
tmp/ 임시 파일 저장하는 디렉터리
vendor/ 서드 파티 코드가 있는 디렉터리
.gitignore 원하는 파일을 git 에서 제외 시킬 수 있는 파일
.ruby-version 루비 버전이 있는 파일
config.ru rack 설정하는 파일
Gemfile 레일즈 의존성이 있는 파일
package.json js 의존성이 있는 파일
Rakefile 배치 파일을 가지는 파일
README.md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명이 있는 파일

그런데 옵션 없이 그냥 레일즈 프로젝트를 만들었더니 기본 데이터베이스가 sqlite3로 설정되어 있었다. 내가 원하던 DBMS가 아니여서 mysql이나 다른 sql로 설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되는지 찾아보았다. 다행히 간단하게 -d 옵션을 사용하면 프로젝트가 원하는 db로 설정된 상태로 만들어진다고 한다.

rails new board -d mysql

필자는 익숙한 mysql로 프로젝트를 생성했다. 이제 레일즈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야한다.

rails db:create

방금 만든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board_development'와 'board_test'라는 두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진다. 이제 서버를 실행시켜보자.

rails s 또는 rails server

그리고나서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3000에 접속하면!

에러가 난다. 이것은 mysql에 접속하려는데 패스워드가 없어서 발생하는 오류이다. 간단하게 config/database.yaml에 가서

default: &default
  adapter: mysql2
  encoding: utf8
  pool: <%= ENV.fetch("RAILS_MAX_THREADS") { 5 } %>
  username: root
  password:
  host: localhost

저기 비어있는 패스워드 칸에 자신의 mysql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다시 서버를 재시작하면

Yay! I'm on Rails!!!!!!

성공이다.

'Ruby on Rai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uby on Rails란  (0) 2019.02.14
Comments